분류 전체보기23 시맨틱 태그의 장점과 position에 대해서 시맨틱 태그란? - 의미론적 태그를 뜻합니다. 시맨틱 태그는 태그가 가진 목적이나 역할을 나타내기 때문에, 태그 사용만으로도 의미를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. 시맨틱 태그 사용의 장점 - 가독성과 유지보수성 향상 시맨틱 태그는 의미 있는 요소로 구분되므로, 코드를 읽거나 유지보수할 때 이해하기 쉬워진다. , , , 와 같은 시맨틱 태그를 사용하면 웹 페이지의 구조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. - 검색 엔진 최적화(SEO)에 도움 시맨틱 태그는 웹 페이지의 구조와 내용을 더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으므로, 검색 엔진이 페이지의 콘텐츠를 이해하기 쉬워진다. 이렇게 함으로써 검색 엔진은 해당 웹 페이지의 내용을 더 잘 인식하고, 노출할 수 있다. - 웹 접근성 향상 시맨틱 태그는 스크린 리더와 같은 보조 기술을 사.. 2024. 1. 6. Cascading 1. 캐스 캐이딩 ( Cascading ) HTML element는 하나 이상의 스타일에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, 어떤 스타일을 적용 받을지에 대한 우선순위가 결정되어야 합니다. 이를 캐스캐이딩 이라고 하는데, CSS의 정식 명칭은 Cascading Style Sheets인 만큼 캐스캐이딩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 캐스캐이딩은 다음의 3가지에 의해 결정됩니다. CSS가 어디에서 선언되었는지 ( 중요도 ) 대상을 명확하게 지정할수록 ( 명시도 ) 코드 순서 이제 위의 각 항목 내에서 우선순위를 살펴보겠습니다. - 중요도 의 의 내의 @import (다음에 배우겠지만 다른 스타일 시트에서 스타일 규칙을 가져올 때 사용) 로 연결된 CSS 파일 로 연결된 CSS 파일 내의 @import 브라우.. 2024. 1. 1. 슬라이싱(Slicing) 슬라이싱(slicing) 이란 연속적인 객체들에(예: 리스트, 튜플, 문자열) 범위를 지정해 선택해서 객체들을 가져오는 방법 및 표기법을 의미합니다. 슬라이싱(slicing) 사용 방법 a를 연속적인 객체라고 가정하면 a[start:end:step] 이런식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 1. 각각 start, end, step 모두 양수와 음수를 가질 수 있습니다. 2. start: 슬라이싱을 시작할 시작위치입니다. 3. end: 슬라이싱을 끝낼 위치로 end는 포함하지 않습니다! 4. step: stride(보폭)라고도 하며 몇개씩 끊어서 가져올지와 방향을 정합니다. 옵션이며 아래의 예제를 확인하면 쉽게 이해가 가능합니다. 그리고 [::-1]을 쓰면 뒤집힌 문자열을 출력합니다. 예를 들면 s = 'strin.. 2023. 11. 21. 포인터의 개념 포인터(Pointer)란 변수의 주소를 저장하는 타입의 변수입니다. 주소값자체가 포인터라고 생각해도 좋습니다. 포인터를 사용하면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, 동적으로 할당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. 포인터 변수 선언 자료형 *포인터이름; 포인터이름 = &변수; 주소 연산자(&)를 사용하여 변수의 주소값을 반환하여 포인터에 저장합니다. 예를 들어 이런식으로 선언 할 수 있습니다. int x = 10; int *ptrx; ptrx = &x; //x의 주솟값을 포인터변수 ptrx에 저장 역참조 연산자 포인터 변수는 메모리 주소가 저장 되어 있는데 이때 메모리에 저장된 값을 가져오기 위해 역참조 연산자 *를 사용합니다. #include using namespace std; int main() { .. 2023. 9. 30. 이전 1 2 3 4 5 6 다음